대한민국 위대한 이야기

나의 생애는/ 모든 지름길을 돌아서/ 네게로 난 단하나의 에움길이었다...” 본문

미디어로그

나의 생애는/ 모든 지름길을 돌아서/ 네게로 난 단하나의 에움길이었다...”

동진대성 2022. 6. 29. 05:05
728x90
반응형


                              길

'길’은 사람들이 정말 자주 쓰는 흔한 말이다. 나는 이상하게 이 한 글자 단어가 오래 전부터 참 좋았다. 그 어감이 입에 착 감긴다. 긴 세월 참 친구처럼 다정하게 긴 여운을 준다.

‘에움길’
이 뜻을 모르는 이도 많을 거 같다. ‘빙 둘러서 가는 멀고 굽은 길’ 이라는 뜻이다. 둘레를 빙 '둘러싸다’ 는 동사 ‘에우다’에서 나왔다.

지름길은 질러가서 가까운 길이고, 에움길은 에둘러 가서 먼 길이다.

‘길’은 순수 우리말이다. 한자를 쓰기 전부터 길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신라 향가에도 나온다. 길을 칭하는 말들은 거개가 우리말이다. 그런데 길 이름에는 질러가거나 넓은 길보다 돌아가거나 좁고 험한 길에 붙은 이름이 훨씬 많다. 우리 인생사처럼 말이다.

집 뒤편의 뒤안길,
마을의 좁은 골목 길을 뜻하는 고샅(길),
꼬불꼬불한 논두렁 위로 난 논틀길,
거칠고 잡풀이 무성한 푸서릿길,
좁고 호젓한 오솔길,
휘어진 후밋길,
낮은 산비탈 기슭에 난 자드락길,
돌이 많이 깔린 돌서더릿길이나 돌너덜길,
사람의 자취가 거의 없는 자욱길, 강가나 바닷가 벼랑의 험한 벼룻길...

숫눈길’을 아는가?
눈이 소복이 내린 뒤 아직 아무도 지나가지 않은, 그대의 첫 발자국을 기다리는 길이다.

‘길’이란 단어는 단어 자체만으로도 참 문학적이고 철학적이고 사유적이다. ‘도로’나 ‘거리’가 주는 어감과는 완전 다르다.

‘길’은 단순히 사람들이 밟고 지나 다니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아무리 생각해 봐도 길이 없다” 거나
“내 갈 길을 가야겠다”라는 표현에서 보듯 길은 삶에서의 방법이거나 삶 그 자체다.

영어 ‘way’도 ‘street’와 달리 같은 중의적 의미를 갖는다. 서양 사람들도 길에서 인생을 연상하는구나 싶어 신기했다

불교나 유교, 도교 등 동양 사상에서의 공통적 이념도 도(道)라고 부르는 길이다

우리는 평생 길 위에 있다.
누군가는 헤매고,
누군가는 잘못된 길로 가고,
누구는 한 길을 묵묵히 간다.

오르막길이 있으면 반드시 내리막길도 있다.
탄탄대로가 있으면 막다른 골목도 있다.
세상에 같은 길은 없다.
나만의 길만 있을 뿐이다.

프랭크 시내트라에게는 “Yes, it was my way” 였고 “I did it my way” 였다.
 
나이가 지긋한 이들은 그 유명한 흑백 영화 ‘길’(La Strada, 1954년)을 기억할 것이다. 야수 같은 차력사 잠파노(안소니 퀸)와 순진무구한 영혼을 가진 젤소미나 (줄리에타 마시나)는 평생 서커스 동반자로 길을 떠돈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 자기가 버린 젤소미나의 죽음을 알고 잠파노는 짐승 처럼 울부짖는다. 길이 끝나는 바닷가에서 이다. 애절하게 울려 퍼지는 니노 로타의 그 유명한 트럼펫 연주 테마 음악... 영화와 제목이 너무나 잘 어울린다.

미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는 명시 ‘가지 않은 길’에서 이렇게 술회했다.

“숲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다.
나는 사람들이 덜 다닌 길을 택했다.
그리고 그것이 나의 모든 것을 바꿔놓았다.”

길은 목적지에 가기 위해서도 존재하지만 떠나기 위해서도 존재한다. ‘길을 간다’라는 말보다 ‘길을 떠난다’는 말은 왠지 낭만적이거나 애잔하거나 결연하다. 결국 우리는 길 위에서 길을 물으며 살아가는 거다.

그게 입신양명의 길이거나,
고행의 길이거나,
득도의 길이거나,
산티아고 길이거나,
바이칼 호수의 자작나무 숲길이거나,
동네 둘레길이거나….

우리네 인생이 곧 길이요, 우리의 발이 삶이다.
 
결국은 ‘마이 웨이’를 가는 거다.
지름길을 택할 것인가,
에움길로 돌아서 갈 것인가.
인생길은 결국은 속도와 방향의 문제다.

지름길로 가면 일찍 이루겠지만 그만큼 삶에서 누락되고 생략되는 게 많을 것이다.

에움길로 가면 늦지만 많이 볼 것이다.
꽃구경도 하고, 새소리 바람소리도 듣고, 동반자와 대화도 나눌 것이다.

사랑도 그렇지 않을까?
모든 사랑은 차표 한 장으로 쉽게 가는 지름길이 아니고, 수만 갈래의 에움길을 돌고 돌아서 이루는 것이다.

여기, 사랑의 신산함을 에움길로 묘사한 명시가 있다.

“너에게로 가지 않으려고 미친 듯 걸었던/
그 무수한 길도/
실은 네게로 향한 것이었다/
(중략)
나의 생애는/
모든 지름길을 돌아서/
네게로 난 단하나의 에움길이었다...”


나의 생애는/
모든 지름길을 돌아서/
네게로 난 단하나의 에움길이었다...”






'미디어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골 초등학교 교사(敎師)셨다. 평생 교감(校監)이나 교장(校長)자리를 마다하시고 교단(敎壇)을 벗삼아 아이들을 가르치셨다.  (0) 2022.05.23
탈무드에서 랍비 일라이는 “사람의 성격은 지갑, 술잔, 분노의 세 가지 방식으로 분별한다”고 말했다. 이를 풀이하면 사람이 지갑(키소), 술  (0) 2021.12.28
''미래에 대한 최선의 예언자는 과거이다.'' 불행하고 참담한 역사는 끊임없이 반복되는가? 안타깝게도 최고통치자와 그 옆에 빌붙은 권력 실세들의  (0) 2021.11.07
윤석열 예비후보 『국민캠프』 총괄특보단은 26일 캠프 2층 대회의실에서 전직 사무처장과 사무처당직자 등 참석한 가운데 ‘윤석열후보 지지선언  (0) 2021.10.27
#국민의힘 #구미 #구자근 #국군의날 #73주년 #참전용사 #국군장병 #한미동맹 #존경합니다 #국정감사 #산업통상자원부 #열심히하겠습니다  (0) 2021.10.02
삼성의 이병철과 현대의 정주영과 대우의 김우중과 경제부흥의 역사 박정희 전,대통령을,, 참고문헌 이병철 자서전,  (0) 2021.07.18
이준석 대표, 국민호응도 높지만 미숙한 리더십과 정치평론가적 비판 발언으로 윤석열 전 총장 1차 위기 초래 -  (0) 2021.06.21
윤석열 대변인 이동훈 서울대 사회학과 출신  (0) 2021.06.16
저 주호영에게 당 대표의 소임을 맡겨주신다면, 혁신과 통합으로, 정권교체를 이뤄내겠습니다. 정권을 되찾아 이 나라를 정상궤도에  (0) 2021.06.01
조해진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기자회견 전문 하산길에 접어든 레임덕 대통령께 전하는 고언  (0) 2021.05.10